최근 이통사들은 “카카오톡 등의 이용자가 늘어나면서 데이터 통신망에 과부하가 우려된다”며 이들 메신저 어플에 대해 제제를 가할 계획임을 밝혔다
하지만 이 같은 소식이 알려지자 이용자들은 곧바로 반대 입장을 내놓고 있다. 한 네티즌은 이번 논란을 수돗물에 비유하며 “수도회사에 가입하고 한 달에 수돗물 100리터를 쓰기로 했습니다. 그런데 갑자기 어느날 수도회사에서 수돗물을 식용으로 쓰려면 돈 더 내랍니다. 내물 내가 쓰는데 뭔 소리냐고 하니 식수로 쓰는 사람들이 수도관에 부담을 더 준답니다”라는 글을 남겨 많은 이용자들의 지지를 얻고 있다.
또 다른 네티즌은 “무제한이라고 해서 더 비싼 요금을 쓰고 있는데, 그것도 통신사 마음대로 선별해서 한다는 것인가?”라고 통신사의 이 같은 방침을 꼬집었다. 한 네티즌은 이통사 광고를 예로 들며 “무제한이라고 콸콸콸~이라고 하더니 거짓광고였네?. 무제한 요금제인데 이용자가 그 통신망으로 뭘하건 무슨 상관인가?”라고 지적했다.
또 다른 네티즌은 SK는 ‘네이트온’ 어플 버전과 최근 KT에서 ‘올레톡’을 출시할 예정이라는 사실을 전하면서 “결국 이통사들이 스마트폰 메신저 어플 시장에 뛰어들기 위해 1위인 카카오톡을 죽이려는 행위”라고 비난했다.
한 네티즌은 이번 메신저 어플 제한 조치를 통신사의 MMS 이용 부진을 극복하기 위한 것이라는 관측도 내놓았다. 통신사의 수입원 중 하나인 MMS를 카카오톡이 일부 대체했기 때문에 이통사가 칼을 빼어든 것이라는 설명이다.
카카오톡은 3G망 혹은 와이파이를 이용해 가입자 상호간에 아무런 추가 과금 없이 문자와 사진, 동영상 등을 주고받을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으로, 스마트폰 이용자들 사이에 필수 어플리케이션으로 굳어가고 있다.
카카오톡이 성공하자 다음은 '마이피플'이나 NHN은 '네이버톡'을 내놓는 등, 포털 업체까지 자사 사이트를 연동한 메신저 서비스에 뛰어들었다.
이 같은 논란이 커져가자 SK텔레콤 측은 “카카오톡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이 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회사 차원에서 분석을 하고 있다"며 "다음 달 정도 그 결과가 나오면 이후 대처방안에 대해 광범위하게 논의될 것"이라고 아직 구체적인 제제방안은 없다고 설명했다.
또 다른 네티즌은 “무제한이라고 해서 더 비싼 요금을 쓰고 있는데, 그것도 통신사 마음대로 선별해서 한다는 것인가?”라고 통신사의 이 같은 방침을 꼬집었다. 한 네티즌은 이통사 광고를 예로 들며 “무제한이라고 콸콸콸~이라고 하더니 거짓광고였네?. 무제한 요금제인데 이용자가 그 통신망으로 뭘하건 무슨 상관인가?”라고 지적했다.
또 다른 네티즌은 SK는 ‘네이트온’ 어플 버전과 최근 KT에서 ‘올레톡’을 출시할 예정이라는 사실을 전하면서 “결국 이통사들이 스마트폰 메신저 어플 시장에 뛰어들기 위해 1위인 카카오톡을 죽이려는 행위”라고 비난했다.
한 네티즌은 이번 메신저 어플 제한 조치를 통신사의 MMS 이용 부진을 극복하기 위한 것이라는 관측도 내놓았다. 통신사의 수입원 중 하나인 MMS를 카카오톡이 일부 대체했기 때문에 이통사가 칼을 빼어든 것이라는 설명이다.
카카오톡은 3G망 혹은 와이파이를 이용해 가입자 상호간에 아무런 추가 과금 없이 문자와 사진, 동영상 등을 주고받을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으로, 스마트폰 이용자들 사이에 필수 어플리케이션으로 굳어가고 있다.
카카오톡이 성공하자 다음은 '마이피플'이나 NHN은 '네이버톡'을 내놓는 등, 포털 업체까지 자사 사이트를 연동한 메신저 서비스에 뛰어들었다.
이 같은 논란이 커져가자 SK텔레콤 측은 “카카오톡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이 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회사 차원에서 분석을 하고 있다"며 "다음 달 정도 그 결과가 나오면 이후 대처방안에 대해 광범위하게 논의될 것"이라고 아직 구체적인 제제방안은 없다고 설명했다.
댓글 없음:
댓글 쓰기